대한민국 철도 역사상 가장 기이한 새마을호 3연속 인명사고 사건
2002년 5월 1일, 여수에서 서울로 향하던 새마을호 162열차가 단 한 번의 운행 중 3건의 사망 사고를 일으켰다. 단순 사고로 시작된 일이 곧 미스터리와 괴담으로 확산되었고, 당시 탑승객들조차 공포에 떨게 만든 희대의 사건으로 기록된다. 기관차 7408호는 이후 괴담의 중심에 서며 전설처럼 회자되었다.
1. 개요
2002년 5월 1일, 대한민국 철도 역사상 유례없는 사건이 벌어졌다. 여수에서 서울로 향하던 새마을호 열차 한 편이 단 한 번의 운행 중 세 차례나 인명사고를 일으키며 세 명이 사망하는 연쇄사고가 발생한 것이다. 이와 같은 사례는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도 유례가 없으며, 철도청(현 한국철도공사) 측에서도 "사상 초유의 사고"라 발표했다.
2. 사고 진행
2.1 첫 번째 사고 – 율촌역 인근 여흥건널목
열차는 여수역에서 오전 10시 20분에 출발하였다. 26분 후인 오전 10시 46분, 전라선 율촌역 인근 여흥건널목에서 이 모 할머니(81세)가 열차에 치여 사망하였다. 당시에는 단순한 건널목 사고로 여겨졌으며, 선형이 낙후된 구간이 많던 당시 철도 상황을 고려하면 비극적이지만 특별한 주목을 받지는 않았다.
2.2 두 번째 사고 – 삼례역 구내 익옥천철교
사고 여파로 순천역에서 기관사가 교체되고 운행이 재개되었다. 그러나 오후 1시 4분, 전라선 삼례역 구내 익옥천철교에서 강 모 할머니(82세)가 선로를 무단 횡단하다 또다시 열차에 치여 사망했다. 연이어 발생한 사고에 승객들은 불안에 떨었고, 일부는 익산역에서 중도 하차해 환불을 요구하기도 했다.
2.3 세 번째 사고 – 함열역 인근 용성건널목
열차는 익산역에서 기관사를 다시 교체하고 호남선으로 진입했다. 그러나 그로부터 불과 35분 뒤인 오후 1시 39분, 함열역 인근 용성건널목에서 구 모 할아버지(90세)가 열차에 치여 사망했다. 세 명의 고령자가 단일 열차에 의해 잇따라 희생되는 충격적인 사고였다.
이 사고로 인해 열차는 총 36분 지연되었고, 서울역 도착 직후 철도청 관계자들이 위령제를 지내는 진풍경이 연출되었다. 이후 해당 사건은 '신비한TV 서프라이즈'를 통해 방송되기도 했다.
3. 사고 조사 결과
철도청은 사고 조사 결과, 기관사 3명 모두에게 과실이 없다고 발표했다. 다음과 같은 사실에 근거한 결론이었다:
건널목과 역 구내에는 경보음 및 적색 점멸등 등 열차 접근을 알리는 안전장치가 정상 작동하고 있었다.
첫 번째와 세 번째 피해자는 경고음이 울리는 상태에서 무단으로 건널목을 건넜으며, 세 번째 피해자는 관리요원의 제지를 뿌리치고 진입했다.
두 번째 피해자는 과수원에 가기 위해 역 구내를 무단 횡단했다.
결국, 세 사고 모두 피해자의 중대한 과실로 결론지어졌다.
4. 여파 및 사회적 반응
철도청은 기관사에게 휴가를 제공했고, 유족에게는 장례비를 지급했다. 그러나 인터넷상에서는 다양한 괴담과 음모론이 확산되었다.
‘저승사자가 새마을호를 탔다’,
‘162열차와 7408호 기관차 숫자를 더하면 죽음을 상징하는 9가 나온다’,
‘기관차에 원귀가 씌었다’는 등의 괴담이 퍼졌다.
이후 해당 사고의 여파로 건널목 입체화 작업이 확대되었고, 일부 간이역에는 지하통로가 설치되었다. 사고를 유발한 7408호 디젤기관차는 이후에도 운행을 지속하다 2022년 퇴역했다.
이 사고는 단순한 교통사고 이상의 상징성을 갖는다. 기묘하게도 같은 열차에서, 같은 날, 불과 수 시간 간격으로 세 명의 고령자가 각각 다른 장소에서 사망한 이 사고는, 철도 안전 문제를 넘어 인간의 생명과 경각심에 대한 깊은 메시지를 던진다.
새마을호 사고, 2002년 철도사고, 여흥건널목 사고, 삼례역 사고, 용성건널목, 새마을호 162열차, 7408호 기관차, 철도 괴담, 한국 철도 안전사고, 열차 건널목 사망, 신비한TV 서프라이즈, 철도청 사고 조사, 열차 연쇄사고